위스키스토리/What is Whiskey?

위스키 라벨 읽는 법 🥃 🏷️ | 라벨만 보고 알 수 있는 9가지 사실 | 캐스크스트렝스란?, 도수, 숙성 연도, 원산지, 증류 방식, 비냉각여과, Haze현상

WHISKEEPING 2024. 2. 17. 15:29

 

위스키 라벨,

어떻게 읽어야할까? 🥃

위스키 라벨에는 많은 것들이 적혀 있죠.

종류와 원산지, 도수, 숙성 방법 등 다양한 정보들은 위스키의 맛을 유추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.

오늘은 위스키 라벨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9가지의 항목들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👀✨

 

1️⃣ 브랜드명

▪️위스키 증류소 회사

2️⃣ 위스키 종류

▪️생산 방식과 특유의 향을 유추 가능

▪️스카치 (싱글몰트, 블렌디드 몰트, 싱글그레인, 블렌디드 그레인), 버번, 테네시, 아이리시 등

[ 💭 스카치 위스키의 종류가 궁금하다면? 위스키핑 이전 게시물 참고 ]

3️⃣ 숙성 연수 (Age) 표시

▪️오크통에서 숙성된 연수

▪️숙성 기간과 품질이 항상 동일하지는 않음

4️⃣ 알코올 도수 (ABV, Proof)

▪️술에 들어간 알코올의 비율

 

⬇️ ABV와 PROOF의 차이 게시물 보러가기 ⬇️

 

위스키 도수 표기법 | ABV, Proof 무엇이 다를까?

위스키 라벨의 도수 표기 어떻게 읽을까? 🤔 오늘은 위스키와 다른 증류주 라벨에서 익숙하게 발견할 수 있는 도수 표기, ABV와 Proo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👀 ​ 👨‍🔬 ABV (Alcohol-by-volume) ▪

whiskeeping.tistory.com

 

5️⃣ 원산지

▪️위스키가 생산된 지역

▪️지역마다 고유한 생산 방식과 규정이 있어 특유의 맛을 유추 가능

▪️같은 스카치 위스키라도 하이랜드, 로우랜드, 스페이사이드, 아일라, 캠벨타운의 원산지에 따라 다른 맛을 보유

6️⃣ 증류 방식

▪️포트 스틸 / 칼럼 스틸 등의 증류 방식

▪️증류 방식 역시 맛에 영향을 줌

7️⃣ 숙성 방식

▪️배럴의 크기와 유형에 따라 맛이 달라짐

▪️배럴의 유형

버번, 셰리, 와인 등의 배럴은 다양한 맛을 만들어냄

▪️배럴의 크기

작은 통은 나무와 위스키가 닿는 표면적이 넓어져 숙성 기간을 빠르게 하고, 풍미를 강해지게 함

큰 통은 숙성 기간을 느리게 하고, 부드럽고 균형 잡힌 풍미를 만들어냄

💭 크기에 따른 배럴의 종류가 궁금하다면?

⬇️ 크기에 따른 캐스크의 종류 게시물 보러가기 ⬇️

 

위스키 캐스크 종류 | 크기에 따라 어떻게 다를까? 🧑🏻‍💻 | [ 캐스크의 종류 ] 1편

위스키 캐스크 🪵 크기에 따라 어떻게 다를까? ​ 위스키를 제작하는 데 쓰이는 오크통을 캐스크, 또는 배럴이라고 하죠. 오늘은 위스키 캐스크의 크기에 따른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. 👀 1. 배

whiskeeping.tistory.com

 

8️⃣ 맛 프로필

▪️바닐라, 스모키, 과일향 등의 맛 프로필

9️⃣ 기타 정보

▪️색소 사용 여부 : 색소를 사용하지 않음 (natural color, non Coloured)

▪️캐스크 스트렝스 : 희석하지 않고 병입된 위스키 (도수가 일정하지 않으니 도수 확인)

▪️냉각 여과 : 추운 날씨에 위스키가 탁해보이는 Haze 현상을 막기 위해 냉각 여과를 실시하기도 함

▪️비냉각 여과 (Non-chill Filtered) : 냉각 여과로 위스키 특유의 화합물을 제거하지 않아 고유한 특성을 보존


마지막으로, 실제 위스키들의 라벨을 보며 함께

이 9가지의 정보를 찾아봅시다.

각 위스키의 맛과 향을 떠올려보며 말이죠. 💁🏻